Color Scripter - 운영한지 6년 된 개인 프로젝트

Feb 23, 2018

내가 운영하고 있는 서비스 중에 Color Scripter 라는 것이 있다. Syntax Highlighter (웹 상에서 코드를 볼 때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색을 바꿔주는 것)의 일종이고, 만들어진지 만 6년이 되어가고 있으며(2018년 2월 기준) 현재는 일 평균 4~500명 정도가 찾는다.

한국에서는 꽤 많이 쓰이는 프로그램인데, 내가 정보를 찾기 위해 구글링을 하다 보면 이 프로그램을 써서 코드를 올린 블로그를 종종 발견하곤 한다. 그렇기 때문에 쉽게 서비스를 중단할 수 없고, 또 애정을 가질 수밖에 없기도 하다.

내가 지금 만 22세이니 만 6세를 먹은 이 프로젝트는 내 인생의 1/4 이상을 함께한, 나의 개발자 인생에 상당히 비중이 있는 프로젝트다. 생일을 챙길 정도로 사용자가 많은 서비스까지는 아니라서 6주년 이벤트 같은 걸 하기는 좀 그렇지만, 나에게만큼은 중요한 의미가 있는 프로젝트이기에 6주년을 맞아 한 번쯤 글로 정리하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screenshot

왜 만들게 되었나

Color Scripter를 처음 만들게 된 시기는 중학교 3학년 때다. 당시 한창 플래시라는 플랫폼과 Action Script 라는 언어를 이용해서 프로그램을 만드는데 흥미를 붙이고 있었다. 그리고 별거 없는 실력이지만 알고 있는 내용을 최대한 공유하려고 블로그에 강의를 코드와 함께 올리곤 했었다. 당시 나는 네이버 블로그를 이용하고 있었는데, 문제는 네이버 블로그에 적합한 Syntax Highlighter가 없었다는 것이다.

네이버 블로그는 강력한 보안 정책으로 script 태그를 일절 사용할 수 없었고, 그렇다고 사진으로 코드를 올리면 읽는 사람이 복붙을 할 수 없을뿐더러 크롤러도 코드를 읽어가지 않아 검색엔진 노출도 상대적으로 덜 되었다. 그래서 처음에는 손으로 주요 키워드마다 색깔을 입히다가 해외 서비스도 알아봤는데 디자인이 전부 맘에 들지 않았다. Action Script를 지원하는 서비스도 거의 없었던 것 같다.


이런 허접한 강좌를 썼는데, 직접 에디터에서 '$' 드래그해서 파란색 입히고,
'a' 드래그해서 초록색 입히고, '1' 드래그해서 분홍색 입히고.. 이런 식으로 하이라이팅을 했다.

그래서 불편함 끝에 직접 만들기로 결정했다. 언어도 내가 쓰는 언어만. 스타일도 내가 원하는 것만 추가해서 만들면 됐다. 그렇게 최초의 프로그램은 단순히 내가 사용하기 위해 만들게 되었다.

탄생 - 버전 1.0

2012.2.29 ~ 2012.4.28

처음에는 자신만만했다. 그냥 정규식을 이용하면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주석 속의 문자열, 문자열 속의 주석, 각종 키워드, 작은따옴표의 문자열과 큰따옴표의 문자열 등을 처리하기 위해선 정규식으로 힘들었다.

For문을 중첩하고 각종 flag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만들었던 기억이 난다. 이 때는 거의 Flash만 사용했으므로 Flash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만들었었고, 문법도 플래시에서 사용하는 언어인 Action Script만 지원했다.

v1.0 스크린샷
최초의 프로그램은 이렇게 못생겼다. 나만 쓰려고 만들었기 때문.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 간단히 만들었었던 프로그램이었는데, 그냥 “이런 걸 만들어 봤다” 라는 의미로 블로그에 프로그램을 올리기도 했었다. 그러다 주변 사람들(다른 플래시를 공부하는 학생들)이 신기해하길래 버전 업데이트를 계속하며 남들도 쓸 수 있도록 개선해 나가기도 했다.

블로그나 카페에 이 프로그램을 올리고,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하이라이트 한 코드를 보며 남들도 하나둘씩 내 프로그램을 이용하기 시작했다. 남들이 이용하기 시작하니까 디자인에도 신경을 썼다. 설정을 누르면 사용자의 입맛 대로 스타일을 바꾸거나 옵션 등을 줄 수 있으며 이렇게 변경한 옵션은 실시간으로 미리 보기 화면에서도 반영되게끔 개선해 나갔다. 나중에는 Action Script 뿐만 아니라 내가 백엔드에서 주로 사용했던 언어인 PHP도 지원했다.

v1.1 설정 화면 스크린샷
이후에는 디자인도 개선되고, 설정을 통해 사용자 입맛에 따라 변경할 수 있게끔 개선했다.

6개월 - 버전 2.0

2012.7.30 ~ 2012.10.27

그러다가 재미를 붙였나 보다. 버전에 대한 판올림도 진행했다. 기존 버전에서는 Action ScriptPHP만 지웠했지만 2.0으로 판올림을 하며 C#, Java, HaXe, JavaScript, HTML/XML, SQL도 지원하기 시작했다. 언어만 추가한 건 아니다. 기존 코드는 개판이었기에 하이라이팅 엔진을 처음부터 다시 짜며 성능 개선을 꽤 했다.

꽤 많은 언어를 지원하기는 했으나, 이게 크게 대단한 건 아니었다. 이때 나는 고등학생이었고, BNF나 LR Parser 같은 걸 전혀 몰랐다. 언어 지원이라 해봤자 자주 사용되는 예약어들을 등록해서 예쁘게 색깔만 입혀주면 되는 것이었다. 다만 HTML은 일반적인 언어와 상당히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에 맞춰서 새로운 엔진을 만들기는 했다. 꺾쇠 (<)가 열고 닫히는 걸 잘 보며 색깔을 입혀주고, 또 꺾쇠 안에서 attribute 표현식 (ex. target="_blank")을 다른 색으로 칠해주는 방식 등 if문 무더기를 통해서 하이라이팅 엔진을 만들었다.

v2.1 스크린샷

한가지 새로운 시도가 있었다면 쓰레드를 사용해서 하이라이팅을 진행하는 시도를 했다는 점이다. 원래 플래시는 쓰레드가 없다. 웹브라우저에서 임베딩되어 사용되는 플러그인 같은 존재였기에 보안상 때문인지 아님 성능상의 이유인지 관련 라이브러리를 제공하지 않았다. 대신 Adobe AIR라고, 플래시를 데스크탑 앱으로 빌드 할 수 있게끔 하는 플랫폼이 있었는데, Air 용으로 Color Scripter를 만들고, 여기서 쓰레드를 사용하여 실시간 하이라이팅을 하게 했다.

비동기 처리에 대한 문제도 있었다. 열심히 코드를 치는데 1초 뒤에 하이라이팅이 되면 그 1초 동안 새로 친 코드는 사라지고 이전의 코드가 다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고자 비동기 처리에 대한 나름의 공부와 머리를 좀 썼던 것 같다. 5년 전 이야기라 사실 자세한 기억이 나지는 않는다 (..)

3년 - 버전 3.0

2014.12.14 ~

2.1.1 버전을 공개하고 한동안 업데이트를 진행하지 않았다. 고등학교 내에서 동아리 활동하랴, 홈페이지 개편 프로젝트 하랴 정신이 없었기 때문에 개인 프로젝트까지 할 여유가 없었다. 그러는 와중에 고3이 되고 이때는 수능 공부 때문에 마찬가지로 신경을 쓸 수가 없었다.

그런데 종종 코딩을 하다 무언가를 찾아보려 구글링을 하면 이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하이라이팅 한 코드를 볼 수 있었다. 어쩌다 한 번 보는 게 아니라 진짜 자주 보였다. 어떤 검색어는 상위 5개 중 2~3개 블로그가 내 프로그램을 쓰고 있기도 했다.

이때까지만 해도 네이버 블로그는 코드를 임베딩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았었고, 티스토리 사용자들도 귀찮은 Google Syntax Highlighter 대신에 그냥 “코드 복사 - Color Scripter에 붙여넣기 - 복사 - 블로그에 붙여넣기”만 하면 끝나는 내 프로그램을 많이 사용하는 것 같았다.

그래서 나중에 한번 날 잡고 개편을 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이번에는 나를 위해서가 아니라, 내 프로그램을 애용하는 사용자들을 위해서. 그렇게 수능을 보고 노는게 약간 지겨워 질 때쯤 개편 작업을 시작했다. 그리고 14년 12월 중순쯤 버전 3.0을 오픈했다. 물론 이때는 망해가는 플래시로 개발하지 않았다. JavaScript를 이용하여 웹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만들었다.

v3 스크린샷
현재 버전과 거의 유사하다. UI에도 상당한 노고를 들여서 만들었다.

개발 언어도 갈아탔고, 플랫폼도 갈아탔지만 내부 엔진도 완전히 갈아엎었다. 더 많은 언어를 언어를 제공함과 동시에 확장성을 보장하고자 꽤 많은 고민을 했던 것 같다. 대표적인 게 언어마다 type이라는 속성을 주었는데, 비슷한 언어들은 하나의 type으로 묶어 모든 언어마다 따로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공유하게끔 개발했던 것이다.

"html" : {
	"types" : ["markup", "html"],
	"keywords" : []
},
"markdown" : {
	"types" : ["markup", "markdown"],
	"keywords" : []
},
"php" : {
	"types" : ["markup", "html", "php"],
	"keywords" : []
},
"php-inner-code" : {
	"types" : ["common", "sigil"],
	"comment_types" : ["//", "/*", "#"],
	"keywords" : [
		["array","object","StdClass","count",...],
		["as","new","self","include","require",...]
	]
},
"xml" : {
	"types" : ["markup"],
	"keywords" : []
},

위 설정 파일을 보면 xml은 markup 만의 속성을 따르지만 html은 markup 과 html 의 속성을, markdown은 markup과 markdown의 속성을, php는 markup과 html, php의 속성을 모두 따르게 했다. type:php<?php?> 키워드 사이에 위치한 코드의 경우 php-inner-code 로 하이라이트 하게끔 하는 속성이다.


if (lang == 'xml' || lang == 'html' || lang == 'markdown' || lang == 'php'):
    # Highlight Markup Lanauge

이런 방법을 쓰면 위와 같은 더러운 코드가 들어가지 않아도 된다. 속성을 바탕으로 언어의 특징들을 그룹화하고 언어를 특징의 합 형태로 표현하여 확장성과 함께 나름 깔끔하게 언어들을 관리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도 완벽한 방법은 아니었고, 결과적으로 type마다 손수 알고리즘을 짜야 하며, 새로운 유형의 언어를 추가하려면 또다시 엔진을 수정해야 한다. 그래도 개발자 한 명이 계속 업데이트 하기에는 나름 괜찮은 구조로 개발했던 것 같다. 3.0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며 c++, python, ruby, perl, visual basic, objective-c, swift 를 지원했으며, 3.1 버전에서는 ASPJSP가 추가되었다.


사용자 편의성도 많이 고려했다. 웹으로 만들어진 다른 서비스들을 많이 참고하면서 디자인을 했고, 스타일패키지(테마)의 경우 선택 전에 미리 볼 수 있게끔 간이 화면도 제공한다.

툴바

이렇게 서비스를 개편하고 공개했을 때의 반응은 성공적이었다. URL를 새로운 주소로 리디렉션하고 개편 사실을 알려주는 팝업을 띄워서 새로운 버전으로 유도시켰고, 상당 수의 사용자는 자연스럽게 새로운 버전으로 넘어오게 되었다. 이후 구글과 네이버에 Color Scripter 라는 키워드로 검색을 해보니 “업데이트 되어 기쁘다”, “더 예뻐졌다”라는 반응도 종종 보였다.

무엇보다 홈페이지 내에 “기부” 탭이 있는데, 여기에 있는 Paypal Donation을 통해서 몇 명의 사람들이 진짜 후원을 해주기도 했다. 물론 커피값~점심값 정도의 적은 금액이기는 했지만 상당히 뿌듯한 경험이었다.

4년 - 확장 스토어

2016.1.23 ~

확장 스토어는 사실 귀찮음 때문에 만들었다. 홈페이지에 문의는 여기로 해달라고 내 메일을 적어뒀었는데, 그 메일로 자꾸 “이 언어 추가해달라”, “저 언어 추가해달라”라고 메일이 온 거다. 자주 사용되는 언어면 기꺼이 해줄텐데, 들어보지도 못한 마이너 한 언어의 요청이 많았다. 귀찮음 이외에도 요청 온 언어들을 전부 추가한다면, 오히려 주요 언어만 사용하는 대다수의 사용자가 마이너한 언어 때문에 프로그램 사용 시간이 길어져 편의성을 해쳐질 수 있다는 문제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차라리 확장 스토어를 만들자고 결정했다. 사용자들이 스스로 언어를 만들어서 사용하고, 또 공유해서 내가 가만히 있어도 알아서 돌아가는 생태계를 구축해보기로 했다.


현재 Color Scripter 확장스토어의 모습

원래 하이라이팅 엔진 자체가 json 형태로 언어와 테마를 지정하는 형식이었기에 일반 사용자도 언어나 테마를 만들기는 쉬운 구조였다. 내가 할 일은 이 json을 손으로 치는 방법 대신 조금 예쁘고 편하게 할 수 있도록 제작 페이지를 개발하는 것과, 이렇게 만들어진 설정들을 공개해서 크롬 확장스토어 처럼 일종의 “설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일이었다.

그 결과 300개 이상의 플러그인이 등록되었고, 무엇보다 언어를 추가해달라는 메일이! 더 이상 오지 않는다! 낮은 퀄리티의 플러그인도 많지만 꽤 괜찮은 퀄리티의 플러그인들도 있다. ES6Go, Delphi, Docker 같은 언어는 모두 사용자들이 직접 만든 언어이다. 내가 개발할 당시에는 그렇게 핫하지 않았지만 요즘 핫한 언어들이 이렇게 사용자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관리되는 환경이 어느 정도는 조성되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확장 스토어의 플러그인 제작 페이지 또한 최대한 이쁘게 만들어
사용자들이 높은 퀄리티의 플러그인을 자연스럽게 만들어낼 수 있게끔 의도했다.

4년 반 - 머신러닝과 언어 자동선택 기능

2016.7.12 ~

사실 그전까지 이 서비스를 운영하며 할 수 있는 것이라고는 더 편리한 기능, 더 예쁜 UI/UX를 통해 사용자를 더 만족시키는 것 밖에는 없었다. 그러다 ‘알파고’가 떴고, 나도 인공지능을 통해 무언가를 해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는데, 사용자가 코드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코드를 분석하여 언어를 추천해주는 기능을 만들면 어떨까 하는 아이디어가 떠올랐다.

프로그래밍 언어를 유추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키워드”다. 언어별로 사용하는 고유의 함수들이나 예약어들이 있는데, 이를 많이 사용하면 사용 할수록 그 언어일 확률이 높아지는 거다. 예를 들면 public void static main 이라는 키워드를 사용하면 이 언어는 Java일 확률이 굉장히 높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include, prinft, scanf를 많이 사용한다면 C언어일 확률이 높을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을 처리하기 좋은 정리가 있었고, 실제 머신러닝에서도 “스팸 분류” 등에 사용되고 있었다. 나이브 베이즈 정리라고 하며, 확률 및 통계에 기반을 두고 있다.


실제로 학습을 돌려보면 자주 사용되는 키워드가 높은 확률을 가지고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코드-언어”에 대한 정답 셋이다. 실제 사용되는 코드와, 그 코드가 어떤 언어인지에 대한 정보가 필요한 것인데, 이를 얻기 위해선 Github 등을 크롤링 하면 된다. 하지만 나는 굳이 차단을 우회하고 힘들여가며 크롤링을 할 필요가 없었다. Color Scripter는 정답 셋을 만들기에 상당히 유용한 서비스였다.

바로 약관에 코드를 수집한다는 점을 추가하고 안내 후 코드를 수집하기 시작했다. 코드가 일정 수준 이상 모인 후 Python을 통해서 학습기 및 분류기를 만들게 되었다. 처음에는 2만 개의 코드로 학습을 돌렸고, 최근에는 10만 개 이상의 코드로 학습을 돌려 둔 상태이다.

꽤 많은 데이터로 학습을 돌렸음에도 높은 정확도가 나오지는 않았다. 특히 HTMLJavaScript는 서로 섞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 둘의 정확도는 50% 정도로 굉장히 낮은 수치가 나왔다. 일부 데이터의 경우 사용자JavaScript 코드를 붙여놓고 HTML으로 설정을 해두어 학습 셋 자체가 잘못된 경우도 있었다.

이후에는 키워드뿐만 아니라 언어별 문법을 기준으로 한 주요 패턴이 얼마나 매칭 되느냐에 대한 기준도 추가하며 코드를 몇 차례 개선을 거친 후, 현재는 약 80%의 정확도가 나오는 상태이다.


정확도 테스트 결과

현재 해당 코드는 오픈소스로 공개한 상태이고, github.com/Prev/shaman 에서 볼 수 있다. 실제 서비스 내 코드는 위 라이브러리를 JS로 포팅한 버전으로 사용하고 있다.

colorscripter.com에 들어가 바로 에디터에 코드를 붙여 넣으면 상단 언어 툴바에 자동(html)과 같은 표시를 볼 수 있는데, 이는 언어 탐지기를 통해서 어떤 언어인지 분석한 후 그 언어로 하이라이팅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현재는 안정적으로 이 기능이 적용되어 약 4~50%의 사용자가 언어를 따로 바꾸지 않고 자동으로 설정된 언어로 이용하고 있다.


이렇게 자동으로 언어를 찾아낸다. 직접 가서 써봐도 좋다!

6년 - 후원 캠페인

이하는 2019년 6월에 새롭게 업데이트 되어 작성된 내용입니다

Color Scripter는 꽤 많은 사용자가 있는 만큼 수년간 나의 포트폴리오이자 훌륭한 테스트 베드가 되었지만, 사용자가 있다는 말은 반대로 이야기하면 함부로 서비스를 중단하기 어려움을 말하기도 한다.

원래 서비스는 집에 있던 NAS용 저사양 서버에 켜두고 있었는데 가끔 서버가 죽어버리면 서비스도 당연하게 같이 죽었고, 그럴 때마다 사용자들이 접속이 안된다는 메일을 보내오기도 했다. 이후에는 홈 서버 대신 다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구매한 서버에 이 서비스를 기생(?)하여 운영하다가, 그 서버마저 만료되는 시점이 다가와 사비로 운영해야 하는 상황에 봉착하게 되었다.

광고를 달아서 비용을 충당해볼까 하다가, 서비스가 죽으면 메일까지 보내주는 충성 사용자들이 있는 것 같은데 혹시 후원 캠페인을 열면 이 불쌍한 개발자에게 조금이라도 서버비를 보태주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게 한 달에 3만 원, 1년 목표액 총 35만 원을 목표로 잡고 후원 페이지를 만들고 메인에 팝업을 띄웠다. 후원자에게 줄 소소한 혜택을 준비하기도 했다. 그래도 아무도 후원해주지 않으면 그냥 광고나 달아야겠다는 큰 기대 없이 후원을 오픈했다.

그렇게 배포를 한지 1시간도 되지 않아 첫 후원자가 생겼다. 목표액 35만 원은 일주일여만에 모두 모였다. 한국에서 후원 문화가 가능할까에 대해 의구심이 많았지만 생각보다 많은 사용자들이 후원에 동참해주었고, 정말 별거 없이 시작한 서비스로부터 많은 것들을 느낄 수 있었다.

현재는 누적 100만 원 이상의 후원금이 모여있다. 후원 페이지에 가면 지금까지 후원해주신 고마운 분들의 목록을 볼 수 있다.

현재와 미래

후원 캠페인을 진행한 이후 전체적인 아키텍처 및 백엔드를 개선하는 작업도 진행했다. 주기적으로 healthchecker가 외부에서 돌며 서버에 장애가 생겼을 경우 이메일로 알림을 주며(AWS Lambda 및 SES), 매일 새벽마다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도 백업되어 외부에 저장된다. 서비스가 중단되어도 Docker로 모든 서비스를 패키징 하였기에 복구/배포 작업도 매우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 앞으로는 접속이 안된다는 이메일을 사용자로부터 받을 일은 (아마) 없을 것이다.

다만 제품의 가치는 상대적으로 계속 낮아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네이버 에디터에서 코드 임베딩을 이제 지원하고, jsfiddle등 코드와 더불어 결과까지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들도 있기에 굳이 Color Scripter를 이용할 필요성이 크지 않다. 선택지가 많지 않았던 과거와는 달라졌다.

그럼에도 서비스에 많은 애정이 있기에 사용자가 계속 줄어들어도 서비스는 계속 운영을 하지 않을까 싶다. 지금 상황에 있어서는 운영을 꾸준히 하면서 확장스토어나 언어 탐지기, 혹은 후원 캠페인처럼 새로운 시도를 해볼 만한 재밌는 아이디어가 있다면 그 기능들을 추가해가며 조금씩 업데이트되어 나가는 형식이 가장 낫다고 생각된다.

Color Scripter를 6년7년간 만들어가며 개발 뿐만 아니라 운영 관점, 사용자 편의성 관점에서도 다양한 발전을 해 나갈 수 있었는데, 이에 대해 감사하며 앞으로도 좋은 서비스를 만들 기회가 있다면 이를 경험삼아 해 내가면 좋을 것 같다.